Showing 48 results

Archival description
플로깅
Print preview Hierarchy View:

14 results with digital objects Show results with digital objects

쓰레기와 함께 달리기, 플로깅

  • EBS Fond2-[D조]-1-01-유래 및 국내도입003
  • Item
  • 2018.2.6.
  • Part of 이화여대 퐁

2018년 2월 6일 김이진 작가가 작성한 EBS 정오뉴스이다. 2016년 스웨덴에서 시작한 '플로깅(plogging)'이라는 운동에 대한 설명이 담겨있다. 플로깅은 최신 북유럽 생활방식으로 운동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빠르게 유행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건강 관리 트렌드가 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스웨덴에서 시작된 플로깅은 SNS를 통해 프랑스와 태국까지 퍼졌다고 보도하고 있다.

김이진

쓰담 걷기, 달리기 캠페인

세종시가 2020년 8월 10일 유튜브 공식 채널에 업로드한 쓰담 캠페인 홍보 관련 영상이다. 2020년 8월 10일부터 30일까지 쓰담운동 참여 영상을 올리면 모바일 커피쿠폰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플로깅의 우리말은 '쓰담 걷기, 달리기'인데 '쓰레기를 주워 담으면서 걷고 달린다'라는 말을 줄여 '쓰담'이라고 부른다. 참여자는 세종특별자치시 유튜브 구독 및 알림 설정, 좋아요를 누른 후 쓰담 캠페인 응원 댓글 작성, 쓰담 운동 참여 영상이나 사진을 첨부해 참여할 수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심평원 대전지원, ‘공공기관 플로깅 챌린지’ 개최

2022년 5월 17일 작성된 병원신문 기사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지원이 공공기관 합동 플로깅 챌린지를 진행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대전지원 주관으로 진행된 플로깅 챌린지는 대전지역 내 ESG관련 유관기관인 한국환경공단 충청권환경본부(본부장 정석현), 한국전기안전공사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본부장 임진수)와 합동으로 진행했으며 약 80여명 직원이 참여했다고 한다.

병원신문

시사상식사전-플로깅

2021년 4월 19일 네이버 시사상식사전에 등재된 단어 플로깅에 대한 설명이다. 사전에 따르면 ‘이삭을 줍는다’는 뜻인 스웨덴어 plocka upp과 영어 단어 jogging(조깅)의 합성어로, 조깅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행동을 말한다. 2016년 스웨덴에서 처음 시작돼 북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쓰레기를 줍기 위해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이 스쿼트 운동 자세와 비슷하다는 데서 생겨난 플로깅은 쓰레기를 담은 봉투를 들고 뛰기 때문에 단순한 조깅보다 칼로리 소비가 많고, 환경도 보호한다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NAVER)

[시사금융용어] 플로깅(쓰담 달리기)

2022년 4월 7일 연합인포맥스 강보인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시사금융용어 해설 기사로 플로깅(쓰담 달리기)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우선 플로깅(Plogging)의 어원에 대해 소개하면서 국제사회의 친환경 행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2020년 국립국어원이 플로깅을 대체할 쉬운 말로 '쓰담 달리기'를 제시한 바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강보인

[쉬운 우리말 쓰기] 쓰레기 주우며 뛰는 플로깅, ‘쓰담 달리기’로 바꿀 수 있어

2022년 8월 20일 국민일보 성윤수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환경 오염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개인과 기업, 국가 간 관심이 증대하면서 친환경 운동이나 정책을 설명하는 용어가 쉬워야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고, 중요성을 강조 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쓰레기를 주우며 뛰는 플로깅을 쉬운 우리말인 '쓰담 달리기'로 바꾸어 사용하자고 이야기하고 있다.

성윤수

[쉬운 우리말 쓰기] (끝) 머그샷과 플로깅

2022년 10월 9일 곽민정 방송사 보도본부 어문위원이 여성신문에 기고한 기사이다. 한글날에 맞춰 외래어의 우리말 순화에 대한 기사로 국립국어원이 2019년 플로깅을 ‘쓰담 달리기’라는 우리말로 다듬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필자는 국립국어원이 쓰담이 ‘손으로 살살 쓰다듬는 행위’이면서 ‘쓰레기 담기’의 줄임말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억지스러운 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어를 순 우리말로 다듬어 사용하고자 하는 취지는 높게 평가되어야 하며 앞으로 순 우리말 사용을 확대하자며 플로깅보다는 '쓰담 달리기'를 사용하자고 이야기한다.

곽민정

서울숲 대표 플로깅 SSJ모닝클럽

SSJ 모닝클럽은 2022년 성수동 로컬 크리에티어 '제레박'이 생성한 플로깅 단체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다. 매주 일요일 9시 비 오는 날을 제외하고 서울숲에 모여 자발적으로 쓰레기를 줍는다. 4명이서 시작했던 모닝클럽은 현재 플로깅이 끝나면 근처 카페로 이동해 참여자들끼리 네트워킹을 진행한다고 한다. 2023년 4월 16일 기준 48회차 플로깅까지 진행했으며 4월 23일 지구의 날을 맞아 무제한 플로깅을 진행중이다.

서울숲모닝클럽

부천시, 청소년 환경 캠페인 ‘짝꿍과 함께 플로깅’ 진행

2021년 4월 28일 부천시청 자치분권과 민간협력팀에서 올린 기사다. 부천시자원봉사센터는 '청소년 1년 365일 생명사랑 캠페인'의 일환으로 청소년 환경캠페인 '짝꿍과 함께 플로깅' 실시하였는데, 청소년들이 개별적으로 짝을 이뤄 본인들이 거주하는 지역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다음 정류장(5개 이상)까지 쓰레기 직접 줍기, 쓰레기 투기 실태 확인 등을 실천했다. 플로깅 참여를 통해 청소년들이 스스로 지역사회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 동참하는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중이다.

부천시청 자치분권과 민간협력팀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 해양쓰레기를 줍는 생활문화 가치확산 캠페인 부산, 울산, 경남 지역 해안가에서 진행

2022년 5월 25일 컬처타임즈의 전동진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부산문화재단이 생활문화 가치확산 캠페인으로 '2022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행사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문화예술을 매개로 사회 이슈에 개입해 공공성과 다양성을 확장하고자 기획된 것으로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이 함께 추진하는 프로젝이다.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는 2022년 5월 28일 부산 일광을 시작으로 6월 25일 울산 간절곶, 7월 23일 경남 거제도 와현, 8월 27일 부산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비치코밍 및 플로깅을 진행한다. 모은 쓰레기로 '업사이클링'해 2022 생활문화페어 <프렌즈> 행사에 전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치코밍 진행 경과는 부산문화재단 유튜브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될 예정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OIDj8cuUCqM)

전동진

바다는 내가 살린다

2021년 11월 1일 MBC에서 바다 플로깅에 대한 소개 영상을 MBC NEWS 유튜브에 올린 것이다. 조깅을 하면서 주변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육지뿐 아니라 바다 속과 해변에서도 유사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바다 플로깅은 프리다이버들이 바닷속 쓰레기를 줍는 '플로빙(=플로깅+프리다이빙)', 해변가에 버려진 쓰레기를 주워 해변을 빗질하듯 쓸어내는 '비치코밍' 등이 있다. 바다 여행도 하고 환경정화도 하는 일석이조의 활동에, 지자체도 이와 관련하여 연계 체험 상품도 선보이고 있다.

MBC

민간 주도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중 비영리재단, 마을 커뮤니티 등 민간주도로 진행되는 사례를 모은 파일이다. 총 6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미지(JPEG, PNG) 9장(2,097kb)과 웹 기사 링크 6개로 구성되어 있다.

김예은1

너도나도 '플로깅'‥뒤처리는 어떻게?

2022년 7월 26일 MBC에서 플로깅 활동 후 뒤처리에 대한 문제점을 MBCNEWS 유튜브에 올린 것이다. 운동과 즐거움 그리고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참여라는 실리와 명분이 더 해지면서 최근 개인은 물론 기업이나 지자체의 조직 참여도 늘고 있다. 하지만 '플로깅'으로 모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가 골칫거리다. 모아진 쓰레기는 다시 분리수거 작업을 거쳐야 하지만, 작업을 할 만한 공간이 없어 집으로 가져가는 경우까지 생기며, 특히 해양 쓰레기는 부피도 크고 분류나 처리 과정이 더 복잡한 것도 부담이라 모아진 쓰레기를 처리할 행정적, 경제적 지원이나 관리 시스템이 뒷받침이 되어야 제대로 성과를 거둘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MBC

나와 지구를 위한 운동, 플로깅

  • Fond2-[D조]-1-01-유래 및 국내도입004
  • Item
  • 2021.1.4.
  • Part of 이화여대 퐁

2021년 1월 4일 VOGUE의 우주연 기사가 작성한 기사이다. 플로깅이란 용어의 유래와 플로깅의 운동 효과,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플로깅 확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플로깅 시 쓰레기를 주울 때 앉았다 일어서는 자세가 '스쿼트', '런지' 자세와 비슷하며 실제로 조깅만 했을 때 보다 50칼로리를 더 소모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플로깅 확산으로 인해 울산에서는 IwALK, 1wASTe 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프랑스 러너들은 '플로깅 프랑스'라는 이름의 동호회를 만들어 플로깅 마라톤을 진행하고 있는 추세임을 밝히고 있다.

우주연

기업 주도의 '플로깅', 홍보 수단으로 변질되면 안 돼

2021년 11월 11일 조선일보 서미영 기자가 작성한 것으로, 플로깅이 국내에 유행하면서 기업들은 플로깅 용품을 제공하거나 펫 플로깅 캠페인 등 다양한 플로깅 연계 이벤트 및 상품을 출시하며 착한 마케팅을 진행중인데, 이런 현상에 대해 단순히 일시적인 마케팅이 아닌 기업의 주도적이고 지속적인 환경보호 활동이 지속되길 바란다는 기사이다.

서미영

기업 주도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중 기업 주도 진행 사례 모음 파일이다. 총 8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JPEG, PNG) 16장(5,724.44kb)과 웹 기사 링크 8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고] 건강한 길은 걸어가면 뒤에 생긴다.

2023년 3월 28일 장애인복지뉴스(DWBNEWS) 유태복 기자가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 뒷처리와 관련하여 작성한 기고글이다. 활동 후 쓰레기 처리 문제와 이에 관한 정보가 담긴 글이다. 플로깅 챌린지의 처리 문제와 이에 대한 팁. 생활환경과로 플로깅 활동용 쓰레기봉투 신청 시 종량제 봉투를 1인 1장씩 지원받을 수 있다. 또, 10명 이상 단체 플로깅 계획이 있는 경우 서귀포보건소에서 지원해주는 걷기지도자 매칭 사업을 통해 더욱 알찬 플로깅 활동을 경험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플로깅 종료 후에는 자원봉사시간도 인정해준다고 하니 플로깅 하나로 건강과 환경을 지키고 봉사활동 실적도 챙기는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유태복

[글로벌 돋보기] 새롭게 뜨는 운동 ‘플로깅’…“지구 위해 달린다”

  • Fond2-[D조]-1-01-유래 및 국내도입005
  • Item
  • 2018.7.14.
  • Part of 이화여대 퐁

2018년 7월 14일 KBS 이진연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2016년 스웨덴에서 시작한 지구를 위해 달리는 새로운 운동인 플로깅을 소개하고 있다. 플로깅은 이삭을 줍는다는 뜻인 스웨덴어 PLOCKA UPP(PICK UP)과 조깅(JOGGING)을 합친 말로 스웨덴에서 처음 시작되었는데 다시 스웨덴 주민들은 이를 쓰레기를 줍는 새로운 놀이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이후 프랑스, 아이슬란드, 미국 등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는데 특히 아이슬란드의 경우 현직 대통령인 귀드니 요하네손도 플로깅에 동참해 화제가 되었고 이를 계기로 플로깅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다고 평가된다고 한다. 기자는 한국에서도 2018년 6월 '광주 플로깅 동호회'와 울산 '플로깅운동연합공동체'가 플로깅을 실천하고 있으나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고 언급하며 나아가 지구를 위해 플로깅 운동이 돌풍이 불길 기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진연

국민건강보험공단 전주남부지사, 지구의 날 맞이 '플로깅 캠페인'

2023년 4월 6일 최필재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지구의 날을 맞아 국민건강보험공간 전주남부지사에서 플로깅 캠페인을 진행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4월 4일부터 7일까지 천변 및 사옥 주변걸에서 플로깅을 통한 환경정화 활동과 함께 반부패, 청렴실천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한다.

최필재

Results 21 to 40 of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