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상자료원

Zone d'identification

Identifiant

Forme autorisée du nom

한국영상자료원

forme(s) parallèle(s) du nom

Autre(s) forme(s) du nom

Type

Zone du contact

Zone de description

Historique

재단법인 한국필름보관서(1974~1990)
재단법인 한국영상자료원(1991~2002)
한국영상자료원(2002~)

Contexte géographique et culturel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한국영상자료원 (우 03925)

Textes de référence

영화진흥법 일부개정 2002. 1. 26. [법률 제6632호, 시행 2002. 5. 1.] 문화관광부

제24조의3(한국영상자료원의 설치)

① 영화필름, 영화관계 문헌 등 영상자료의 수집, 보관, 전시 및 영화의 예술적·역사적·교육적인 발전을 위하여 문화관광부 산하에 한국영상자료원(이하 "자료원"이라 한다)을 둔다.
② 자료원은 법인으로 한다.
③ 자료원에는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임원과 필요한 직원을 둔다.
④ 자료원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⑤ 자료원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국고에서 지원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02.1.26]

Structure administrative

Gestion des archives courantes et intermédiaires et politiques de collecte

한국영상자료원은 국내외 영화 필름과 함께 다양한 비필름 자료들(비디오물, 오디오물, 포스터, 스틸, 시나리오, 도서, 정기간행물, 의상, 소품, 영화인 애장품)를 포함하여 모든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영화 필름은 극영화와 함께 뉴스릴, 기록물 등의 비극영화까지, 다양한 규격의 필름부터 최근 디지털 파일까지 모두 수집 대상이 됩니다. 최근에는 한우섭&한규호 부자 컬렉션을 통해 미보유 중이었던 국내 극영화 94편을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영상자료원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 산재되어있는 영상자료들 역시 적극적으로 발굴, 수집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규환 감독의 <해연>(1948)을 일본 고베영화자료관에서 복사 수집한 바 있습니다.

수집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제출 : 영화 및 비디오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의무 납본
기증 : 영화필름 등의 자료를 무상으로 수여(증여계약)
구입 : 매매 계약을 통한 자료의 소유권 획득
복사 : 기증이나 위탁이 어려운 경우 사본을 제작하여 수집

Bâtiments

B1 시네마테크
F1 한국영화박물관, 교육실
F2 영상도서관, 수장고(디지털보존고), 필름검색실, 디지털아카이빙실, DC검수실, 카달로깅실, 전산실
F3 수장고(필름보존고, 특수자료보존실)
F4 사무국

Fonds

Instruments de recherche, guides et publications

Zone de l'accès

Heures d'ouverture

Conditions d'accès et d'utilisation

Accessibilité

Zone des services offerts

Services d'aide à la recherche

Services de reproduction

Espaces publics

Zone du contrôle

Identifiant de la description

Identifiant du service d'archives

Règles et/ou conventions utilisées

Statut

Niveau de détail

Dates de production, de révision et de suppression

Langue(s)

Écriture(s)

Sources

Notes de maintenance

Mots-clés

Points d'accès

  • Presse-pap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