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에스더

識別情報のエリア

エンティティの種別

個人

正式名称

박에스더

名称の異なる表記

他の規則に従って標準化された名称の形式

他の名称のフォーム

  • 김점동

組織体用識別子

記述のエリア

実在期間

1887-1910

歴史

1877 서울 정동 출생(고종 14)
본관은 광산(光山), 본명은 김점동(金點童)
1891 세례를 받아 김에스더라 불림
이후 남편의 성을 따르면서 박에스더가 됨
1887 이화학당 입학
1890 이화학당 졸업 후 보구녀관 통역 담당
이화학당 교사인 로제타 셔우드의 통역 담당
1892 박유산과 결혼
1894 평양에서 조수로 일하기 시작
1895 미국으로 건너감
1896 볼티모어 여자 의과대학 입학
1900 박사학위 취득
한국 최초의 여의사가 됨
당시 남편은 폐결핵으로 사망
1901 조선으로 귀국, 보구녀관 의사 재직
1910 폐결핵으로 사망

場所

대한민국, 미국

法的ステータス

1901-1910 보구녀관 의사

機能、職業と行動

미국 유학 후 귀국한 박에스더는 로제타 셔우드 홀이 있는 평양 광혜여원의 보조 의사로 1900년 부임하며 한국 최초 여성 의사의 탄생을 알렸다. 박에스더는 이후 평양 광혜여원과 서울 보구녀관에서 근무하며 낙후된 환경 속에서도 매년 수천 건의 진료를 진행하며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 이후 1905년 폐결핵이 발병해 투병하다가 1910년 34세의 나이로 짧은 생을 마감했다. 박에스더는 당대에도 여성 교육과 의료 활동의 상징적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오늘날에도 한국 여성 의학의 문을 열고 참된 의술을 실천함으로써 한국 의료사와 여성사, 기독교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要求(命令)/オーソリティの情報源

内部構造/系図

본래는 광산 김씨로 이름은 점동이었다. 김홍택과 연안 이씨 사이에서 셋째 딸로 태어나 결혼한 후 남편의 성을 따라 박에스더가 되었다. 독립유공자 신의경은 그녀의 조카로, 언니 신마리아의 딸이다.

一般コンテキスト

関係エリア

Access points area

主題アクセスポイント

場所のアクセスポイント

Occupations

管理のエリア

典拠レコード識別子

機関識別子

ルールおよび使用した規則

状態

最終

詳細さの水準

完結

作成 訂正 削除の日付

言語

  • 韓国語

文字

参考文献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나무위키 등

メンテナンス注記

  • クリップボード

  • エクスポート

  • EAC

関連する主題

関連する場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