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결과 보기

기록물 기술
플로깅
인쇄 미리보기 Hierarchy View:

디지털 객체가 포함된 결과 14 건 디지털 개체에 관한 결과 보기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 해양쓰레기를 줍는 생활문화 가치확산 캠페인 부산, 울산, 경남 지역 해안가에서 진행

2022년 5월 25일 컬처타임즈의 전동진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부산문화재단이 생활문화 가치확산 캠페인으로 '2022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행사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문화예술을 매개로 사회 이슈에 개입해 공공성과 다양성을 확장하고자 기획된 것으로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이 함께 추진하는 프로젝이다.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는 2022년 5월 28일 부산 일광을 시작으로 6월 25일 울산 간절곶, 7월 23일 경남 거제도 와현, 8월 27일 부산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비치코밍 및 플로깅을 진행한다. 모은 쓰레기로 '업사이클링'해 2022 생활문화페어 <프렌즈> 행사에 전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치코밍 진행 경과는 부산문화재단 유튜브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될 예정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OIDj8cuUCqM)

제목없음

어메니티 없애고 플로깅 키트…특급호텔들 요즘 이런 패키지

2023년 3월 27일 중앙일보 유지연 기자가 작성한 기사 「어메니티 없애고 플로깅 키트…특급호텔들 요즘 이런 패키지」이다. 호텔에서도 친환경 운동 흐름의 한 경향인 그린 스테이 열풍으로 인해 플로깅 활동을 포함한 숙박 패키지가 등장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호텔앤리조트, 조선호텔앤리조트, 코오롱리조트앤호텔, 워커힐호텔 예시를 들고 있다.

제목없음

"플로깅부터 지역상생까지" 시몬스의 '진심' 담긴 ESG

2023년 2월 27일 매일일보 김원빈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시몬스가 ESG 활동의 일환으로 이천 주민들과 함께 플로깅을 진행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신갈리에는 시몬스침대 매트리스 자체 생산시설과 수면연구 연구개발(R&D)센터와 시몬스 팩토리움, 복합문화공간 시몬스 테라스가 있다. 시몬스침대는 2017년부터 소길리에서 사업을 진행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사회와 협조하며 ESG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번에는 임직원들과 소길리 주민들과 함께 플로깅을 진행했다. 이는 시몬스침대가 이천 지역사회 브랜딩,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인 파머스 마켓 등 다양한 ESG 활동중 하나라고 밝히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ESG 활동을 지속할 계획임을 소개하고 있다.

제목없음

민간 주도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중 비영리재단, 마을 커뮤니티 등 민간주도로 진행되는 사례를 모은 파일이다. 총 6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미지(JPEG, PNG) 9장(2,097kb)과 웹 기사 링크 6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없음

줍GO! 담GO! 달리GO! ‘플로깅’ 이모저모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시대 2022년 10월호 기사이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월간 소비 챌린지를 공개하여 지속 가능한 사회, 살맛나는 지구를 가꾸고자 매월 친환경 상식과 챌린지 미션이 공개되는데, '플로깅(=줍깅=쓰담달리기)'이 2022년 10월호 챌린지 키워드이다. 용어 설명과 함께, 플로깅이 어떠한 활동인지 알 수 있도록 소개하고 있다. 플로깅(Plogging)은 조깅을 하며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쓰레기를 줍는 것과 조깅을 합쳐 '줍깅'이라고 불리는 현상과 함께 국립국어원에서 '쓰담달리기'라는 단어로 순화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따라서 플로깅, 줍깅, 쓰담달리기는 모두 같은 의미임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플로깅의 효과, 준비물, 실천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제목없음

제주는 지금 봉그깅 챌린지 중!

2022년 2월 17일 PLANET TIMES의 전진영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제주도의 환경 보존 단체인 DIPHDA JEJU(디프다 제주) 대표 변수빈의 인터뷰 기사로 디프다 제주의 활동에 대한 내용과 함께 '봉그깅'이라는 용어에 대한 소개가 담겨 있다. '봉그깅'은 변수빈 대표가 제주도 방언을 활용해 지은 단어이다. 변수빈 대표가 제주도에서 처음 '플로깅'을 시작했을 때 '플로깅'이라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았다고 한다. 제주도민에게 익숙하게 다가가고 보다 많은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줍다'의 제주어인 '봉그다'와 플로깅의 합성어로 지은 것이라고 한다. 현재 '봉그깅'은 제주도에서 '플로깅'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제목없음

쓰담 걷기, 달리기 캠페인

세종시가 2020년 8월 10일 유튜브 공식 채널에 업로드한 쓰담 캠페인 홍보 관련 영상이다. 2020년 8월 10일부터 30일까지 쓰담운동 참여 영상을 올리면 모바일 커피쿠폰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플로깅의 우리말은 '쓰담 걷기, 달리기'인데 '쓰레기를 주워 담으면서 걷고 달린다'라는 말을 줄여 '쓰담'이라고 부른다. 참여자는 세종특별자치시 유튜브 구독 및 알림 설정, 좋아요를 누른 후 쓰담 캠페인 응원 댓글 작성, 쓰담 운동 참여 영상이나 사진을 첨부해 참여할 수 있다.

제목없음

플로깅 결과물 처리 관련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관련 결과물 처리 파일이다. 총 4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파일(JPEG) 1장(129kb)과 웹 기사 링크 4건이 포함되어 있다.

결과 41 to 48 of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