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preview Close

Showing 2026 results

Archival description
Print preview Hierarchy View:

531 results with digital objects Show results with digital objects

18th Session, Executive Council

  • FR PUNES 2024-05-09/44-AG 15-AG 15-IBI-AG 15-IBI-2-AG 15-IBI-2-1-AG 15-IBI-2-1-16
  • File
  • 6-7 septembre 1968
  • Part of 신동헌 컬렉션

File contains documents from the 18th Session of the IBI Executive Council, held in Rome from 6-7 September 1968.

18th Session, General Assembly

  • FR PUNES 2024-05-09/44-AG 15-AG 15-ICPHS-AG 15-ICPHS-1-AG 15-ICPHS-1-1/2e-1/17-AG 15-ICPHS-1-1/2e-1/17-15
  • File
  • 1986-11-21 - 1986-11-22
  • Part of 신동헌 컬렉션

Transcript of the 18th general assembly held in Cairo.

International Council for Philosophy and Humanistic Studies

1910~1925 (대학과 시대)

1910년, 한일합병조약 조인으로 기울어 가던 국운은 막을 내립니다.
이 망국의 한을 박차듯이 이화학당에는 대학과가 설치되었습니다.
사회 일반은 물론, 동료 선교사들조차 한국에서 여성고등교육은 시기상조라고 반대했지만, 프라이 당장은 대학과 유치원 사범과를 설립해야 한다는 신념에 불타있었습니다.
당시 사회의 조혼풍습으로 지적·신체적으로 성숙되기 전의 어린 여성들이 가정에 갇혀야 했던 상황을 잘 알고 있던 룰루 E. 프라이 당장은 한국여성에게 보다 광범위한 교육의 기회를 주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이 바로 질 높은 교육을 받은 한국 여성 지도자 배출이었던 것입니다.
그의 예상과 기대는 적중했습니다. 이화 학생들의 향학열과 소명감으로 1914년부터 1925년까지 배출된 대학과, 대학예과, 유치원 사범과를 졸업한 이화의 졸업생들이 이 땅의 근대화 과정의 제1세대 여성지도자군을 이루어 뚜렷한 업적을 남겨놓은 것입니다.

B조

1925~1945 (전문학교 시대)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4/14
  • File
  • 1925~1945
  • Part of 이화여대 퐁

이화의 대학과가 목표한 것은 선진국들이 실시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대학교육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이화학당 대학과를 각 교파가 공동후원하는 기독교연합여자대학으로 성장시키려는 논의도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인의 대학교육 기회를 제한하려는 일제 식민지교육정책으로 말미암아 이화는 대학의 꿈을 접어두고 전문학교 인가를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학당 내에서는 대학이 전문학교로 격하됨을 슬퍼하기도 했으나, 이화여자전문학교의 정식출범은 전국에서 고등교육을 갈망하던 여학생들의 열렬한 호응과 기대를 받았습니다.
이 시기에 전문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사회의 책임을 지는 삶을 스스로 택하는 특별한 것이었고, 이화여전 출신들은 식민지하의 한국 사회 여성 선각자로서 각 분야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보여주었습니다.

B조

1946~1961 (종합대학교 확립기)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B004
  • File
  • 1946-1961
  • Part of 이화여대 퐁

1946년~1961년 이화 사진을 모은 철

[상세설명]
1945년 8월 15일 조국 광복과 함께 이화는 박탈당했던 교명을 찾고 식민지하에서 접어두었던 종합대학교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교부 제1호로 종합대학교 인가를 받은 이화는 이 땅의 여성교육을 대학교와 대학원 수준까지 고양시키고 여성고등교육 인구를 증가시켜 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정치·사회 현실은 미군정, 남북분단, 한국전쟁, 4·19혁명, 5·16군사정변 등 격동의 시기로 이어져 이화는
시련을 함께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화는 성장과 발전을 계속하여 광복 직후 9개 학과에 학생수 9백 명이었던 규모가 1961년 9월 김활란 총장이 퇴임할 즈음에는 1개 대학원, 7개 대학, 31개 학과에 8천명 학생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으로서 필요한 건물, 기구, 연구소 등을 창설하고, 대학 전반에 대한 자체 조사분석을 통하여 질과 양의 측면에서 '대이화'로 약진할 초석을 든든히 하였습니다.

1961~1979 (이화의 발전기)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B005
  • File
  • 1961-1979
  • Part of 이화여대 퐁

1961년~1979년 이화 사진을 모은 철

[상세설명]
1961년 이화는 일대 전환기를 맞습니다. 5·16군사정변의 소용돌이로 인해 온나라가 경직된 가운데, 군사최고회의의 대학 정비령에 의해 44년간 이화에 헌신해온 김활란 총장이 학교를 떠나야 했습니다.
22년 동안 이화를 이끌어 가면서 일제의 탄압, 해방, 6·25전쟁의 풍운을 헤치며 이화를 최고교육기관으로 탄탄하게 성장시킨 김활란 박사는 김옥길 후임총장에게 자리를 물려주며,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이 충실히 계승되고 더 눈부시게 발전할 것을 기대했습니다.
이 기대에 십분 부응하였던 김옥길 총장은, 18년 후 스스로 총장직을 사임하고 새 일꾼 정의숙 총장에게 바톤을 넘겼습니다. 이화전문이 배출한 김총장에서 이화여자대학교 출신의 정총장으로 바뀌면서 이화는 창립100년을 구가하며 미래를 향한 발전을 거듭합니다.

Results 41 to 60 of 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