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 미리보기 닫기

54 결과 보기

기록물 기술
Plogging
인쇄 미리보기 Hierarchy View:

디지털 객체가 포함된 결과 15 건 디지털 개체에 관한 결과 보기

플로깅의 유래 및 종류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의 유래와 종류에 대한 시리즈이다. 플로깅의 유래와 플로깅의 종류라는 2개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플로깅의 유래는 6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로깅의 종류는 4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JPEG) 12장(1,847kb)과 웹 페이지 링크 10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와 지구를 위한 운동, 플로깅

  • Fond2-[D조]-1-01-유래 및 국내도입004
  • 2021.1.4.
  • Part of 이화여대 퐁

2021년 1월 4일 VOGUE의 우주연 기사가 작성한 기사이다. 플로깅이란 용어의 유래와 플로깅의 운동 효과,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플로깅 확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플로깅 시 쓰레기를 주울 때 앉았다 일어서는 자세가 '스쿼트', '런지' 자세와 비슷하며 실제로 조깅만 했을 때 보다 50칼로리를 더 소모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플로깅 확산으로 인해 울산에서는 IwALK, 1wASTe 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프랑스 러너들은 '플로깅 프랑스'라는 이름의 동호회를 만들어 플로깅 마라톤을 진행하고 있는 추세임을 밝히고 있다.

제목없음

[글로벌 돋보기] 새롭게 뜨는 운동 ‘플로깅’…“지구 위해 달린다”

  • Fond2-[D조]-1-01-유래 및 국내도입005
  • 2018.7.14.
  • Part of 이화여대 퐁

2018년 7월 14일 KBS 이진연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2016년 스웨덴에서 시작한 지구를 위해 달리는 새로운 운동인 플로깅을 소개하고 있다. 플로깅은 이삭을 줍는다는 뜻인 스웨덴어 PLOCKA UPP(PICK UP)과 조깅(JOGGING)을 합친 말로 스웨덴에서 처음 시작되었는데 다시 스웨덴 주민들은 이를 쓰레기를 줍는 새로운 놀이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이후 프랑스, 아이슬란드, 미국 등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는데 특히 아이슬란드의 경우 현직 대통령인 귀드니 요하네손도 플로깅에 동참해 화제가 되었고 이를 계기로 플로깅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다고 평가된다고 한다. 기자는 한국에서도 2018년 6월 '광주 플로깅 동호회'와 울산 '플로깅운동연합공동체'가 플로깅을 실천하고 있으나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고 언급하며 나아가 지구를 위해 플로깅 운동이 돌풍이 불길 기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제목없음

"MZ 반응 이렇게 뜨거울 줄은"…비치코밍·플로깅 마케팅이 뜬다 [이미영의 트렌드 톡톡]

2022년 8월 19일 한경라이프 이미영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흐름 속에서 소비 활동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드러내는 데 거리낌이 없는 MZ세대를 겨냥한 친환경 참여형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그 예로 제일기획의 '씨낵 캠페인'과 롯데백화점의 '비치코밍'을 소개하고 있다. 비치코밍은 바다에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의 다른 종류이다.
제일 기획의 씨낵 캠페인은 해안가에 설치한 비치코밍 트럭에서 환경정화 도구를 빌려주고 수거해온 쓰레기를 무게에 따라 바다 관련 스낵으로 교환해주었다. 롯데백화점의 비치코밍은 서피비치를 찾은 사람들이 바닷가 쓰레기 줍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필요한 장비를 대여해주거나 증정했다. 참여자들이 수거한 쓰레기량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받았는데, 포인트로는 현장에 비치된 닥터노아 디얼어스 동구밭 등 친환경 브랜드 제품과 교환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블랙야크는 등산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그린야크 챌린지’ 를 진행했으며 코오롱 스포츠는 서울 도심을 달리며 쓰레기를 줍는 ‘쓰담쓰담 솟솟’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진행한 ‘MZ세대가 바라보는 ESG경영과 기업의 역할’ 설문 결과 응답자의 64.5%가 비싸더라도 ESG 실천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한다. 이에 고려대 이재혁 ESG연구센터장은 “가성비보다 가심비를 따지는 MZ세대가 주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비슷한 품질이라면 ESG를 실천하는지가 구매 기준이 되는 등 자신의 신념에 맞는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MZ세대들은 브랜드 파워 못지않게 친환경적 요소가 소비 결정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제목없음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 해양쓰레기를 줍는 생활문화 가치확산 캠페인 부산, 울산, 경남 지역 해안가에서 진행

2022년 5월 25일 컬처타임즈의 전동진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부산문화재단이 생활문화 가치확산 캠페인으로 '2022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행사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문화예술을 매개로 사회 이슈에 개입해 공공성과 다양성을 확장하고자 기획된 것으로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이 함께 추진하는 프로젝이다. 부울경 비치코밍 투게더는 2022년 5월 28일 부산 일광을 시작으로 6월 25일 울산 간절곶, 7월 23일 경남 거제도 와현, 8월 27일 부산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비치코밍 및 플로깅을 진행한다. 모은 쓰레기로 '업사이클링'해 2022 생활문화페어 <프렌즈> 행사에 전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치코밍 진행 경과는 부산문화재단 유튜브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될 예정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OIDj8cuUCqM)

제목없음

어메니티 없애고 플로깅 키트…특급호텔들 요즘 이런 패키지

2023년 3월 27일 중앙일보 유지연 기자가 작성한 기사 「어메니티 없애고 플로깅 키트…특급호텔들 요즘 이런 패키지」이다. 호텔에서도 친환경 운동 흐름의 한 경향인 그린 스테이 열풍으로 인해 플로깅 활동을 포함한 숙박 패키지가 등장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호텔앤리조트, 조선호텔앤리조트, 코오롱리조트앤호텔, 워커힐호텔 예시를 들고 있다.

제목없음

네스카페 "관악산 등산하여 환경보호 플로깅 함께 해요"

2022년 5월 11일 이데일리 김범준 기자가 작성한 기사다. 네스카페는 5월 13-14일 이틀간 관악산에서 플로깅 이벤트를 진행하는데,등산객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플로깅 키트를 제공받아 산행을 시작하면 된다. 예약 및 현장 참여가 가능하며 사전 참여자의 경우 추첨을 통해 롯데상품권 20만원, 현장 참여자의 경우 1일 1000명 추첨 네스카페 오리진스 수마트라&알타리카 2종을 제공한다.

제목없음

"플로깅부터 지역상생까지" 시몬스의 '진심' 담긴 ESG

2023년 2월 27일 매일일보 김원빈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시몬스가 ESG 활동의 일환으로 이천 주민들과 함께 플로깅을 진행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신갈리에는 시몬스침대 매트리스 자체 생산시설과 수면연구 연구개발(R&D)센터와 시몬스 팩토리움, 복합문화공간 시몬스 테라스가 있다. 시몬스침대는 2017년부터 소길리에서 사업을 진행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사회와 협조하며 ESG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번에는 임직원들과 소길리 주민들과 함께 플로깅을 진행했다. 이는 시몬스침대가 이천 지역사회 브랜딩,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인 파머스 마켓 등 다양한 ESG 활동중 하나라고 밝히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ESG 활동을 지속할 계획임을 소개하고 있다.

제목없음

민간 주도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중 비영리재단, 마을 커뮤니티 등 민간주도로 진행되는 사례를 모은 파일이다. 총 6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미지(JPEG, PNG) 9장(2,097kb)과 웹 기사 링크 6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없음

맑고 시린 가을...'줍깅'으로 양심 줍는 사람들

2021년 10월 17일 YTN 김민성 기자가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줍깅' 활동을 소개하며 줍깅하는 달리기 동호회 사람들을 직접 인터뷰한 영상이다. 또한 김민성 기자도 직접 활동을 체험한 후 시청자들에게 제안한다.

제목없음

줍GO! 담GO! 달리GO! ‘플로깅’ 이모저모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시대 2022년 10월호 기사이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월간 소비 챌린지를 공개하여 지속 가능한 사회, 살맛나는 지구를 가꾸고자 매월 친환경 상식과 챌린지 미션이 공개되는데, '플로깅(=줍깅=쓰담달리기)'이 2022년 10월호 챌린지 키워드이다. 용어 설명과 함께, 플로깅이 어떠한 활동인지 알 수 있도록 소개하고 있다. 플로깅(Plogging)은 조깅을 하며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쓰레기를 줍는 것과 조깅을 합쳐 '줍깅'이라고 불리는 현상과 함께 국립국어원에서 '쓰담달리기'라는 단어로 순화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따라서 플로깅, 줍깅, 쓰담달리기는 모두 같은 의미임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플로깅의 효과, 준비물, 실천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제목없음

제주는 지금 봉그깅 챌린지 중!

2022년 2월 17일 PLANET TIMES의 전진영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제주도의 환경 보존 단체인 DIPHDA JEJU(디프다 제주) 대표 변수빈의 인터뷰 기사로 디프다 제주의 활동에 대한 내용과 함께 '봉그깅'이라는 용어에 대한 소개가 담겨 있다. '봉그깅'은 변수빈 대표가 제주도 방언을 활용해 지은 단어이다. 변수빈 대표가 제주도에서 처음 '플로깅'을 시작했을 때 '플로깅'이라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았다고 한다. 제주도민에게 익숙하게 다가가고 보다 많은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줍다'의 제주어인 '봉그다'와 플로깅의 합성어로 지은 것이라고 한다. 현재 '봉그깅'은 제주도에서 '플로깅'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제목없음

쓰담 걷기, 달리기 캠페인

세종시가 2020년 8월 10일 유튜브 공식 채널에 업로드한 쓰담 캠페인 홍보 관련 영상이다. 2020년 8월 10일부터 30일까지 쓰담운동 참여 영상을 올리면 모바일 커피쿠폰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플로깅의 우리말은 '쓰담 걷기, 달리기'인데 '쓰레기를 주워 담으면서 걷고 달린다'라는 말을 줄여 '쓰담'이라고 부른다. 참여자는 세종특별자치시 유튜브 구독 및 알림 설정, 좋아요를 누른 후 쓰담 캠페인 응원 댓글 작성, 쓰담 운동 참여 영상이나 사진을 첨부해 참여할 수 있다.

제목없음

플로깅 결과물 처리 관련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관련 결과물 처리 파일이다. 총 4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파일(JPEG) 1장(129kb)과 웹 기사 링크 4건이 포함되어 있다.

결과 41 to 54 of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