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결과 보기

기록물 기술
이화여대 퐁
인쇄 미리보기 Hierarchy View:

디지털 객체가 포함된 결과 251 건 디지털 개체에 관한 결과 보기

플로깅 관련 논문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Plogging), 줍깅 관련 논문 모음 파일이다. 총 3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서(PDF) 3건(4,490.2kb), 웹 페이지 링크 3건이 포함되어 있다.

플로깅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참여 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31권 제6호(2022)에 등재된 논문으로, 채수원(연세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김진국(남서울대학교 겸임교수)이 플로깅 활동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참여동기에 따라 참여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한 내용이다.

제목없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범국민 산해진미(山海眞美) 캠페인

한국PR학회 2022 가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최진미(SK이노베이션 PM)가 발표한 우수사례연구이다.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과 일상 속 실천을 찾기 위해,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바로 실천이 가능한 봉사활동인 '플로깅'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환경보호 캠페인을 기획하여 진행하였다.

제목없음

산해진미 캠페인 사진

‘산(山)과 바다(海)를 참(眞) 아름답게(美) 만들자’는 의미를 갖고 있는 산해진미 캠페인은 조깅이나 산책을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인 플로깅이 바탕이며, 작은 실천으로 큰 변화를 이끈다는 목표로 시행되어 왔다.

너도나도 '플로깅'‥뒤처리는 어떻게?

2022년 7월 26일 MBC에서 플로깅 활동 후 뒤처리에 대한 문제점을 MBCNEWS 유튜브에 올린 것이다. 운동과 즐거움 그리고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참여라는 실리와 명분이 더 해지면서 최근 개인은 물론 기업이나 지자체의 조직 참여도 늘고 있다. 하지만 '플로깅'으로 모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가 골칫거리다. 모아진 쓰레기는 다시 분리수거 작업을 거쳐야 하지만, 작업을 할 만한 공간이 없어 집으로 가져가는 경우까지 생기며, 특히 해양 쓰레기는 부피도 크고 분류나 처리 과정이 더 복잡한 것도 부담이라 모아진 쓰레기를 처리할 행정적, 경제적 지원이나 관리 시스템이 뒷받침이 되어야 제대로 성과를 거둘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목없음

기업 주도의 '플로깅', 홍보 수단으로 변질되면 안 돼

2021년 11월 11일 조선일보 서미영 기자가 작성한 것으로, 플로깅이 국내에 유행하면서 기업들은 플로깅 용품을 제공하거나 펫 플로깅 캠페인 등 다양한 플로깅 연계 이벤트 및 상품을 출시하며 착한 마케팅을 진행중인데, 이런 현상에 대해 단순히 일시적인 마케팅이 아닌 기업의 주도적이고 지속적인 환경보호 활동이 지속되길 바란다는 기사이다.

제목없음

[기고] 건강한 길은 걸어가면 뒤에 생긴다.

2023년 3월 28일 장애인복지뉴스(DWBNEWS) 유태복 기자가 대한민국 안에서 진행되는 플로깅 뒷처리와 관련하여 작성한 기고글이다. 활동 후 쓰레기 처리 문제와 이에 관한 정보가 담긴 글이다. 플로깅 챌린지의 처리 문제와 이에 대한 팁. 생활환경과로 플로깅 활동용 쓰레기봉투 신청 시 종량제 봉투를 1인 1장씩 지원받을 수 있다. 또, 10명 이상 단체 플로깅 계획이 있는 경우 서귀포보건소에서 지원해주는 걷기지도자 매칭 사업을 통해 더욱 알찬 플로깅 활동을 경험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플로깅 종료 후에는 자원봉사시간도 인정해준다고 하니 플로깅 하나로 건강과 환경을 지키고 봉사활동 실적도 챙기는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제목없음

이화학당 최초의 한옥교사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4/10-2023-04-17/42
  • 2023-04-18
  • Part of 이화여대 퐁

1986년 11월 완공된 이화학당 최초의 한옥교사입니다. 200평 규모의 이 건물은 35명 정도의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교실과 당장실, 교무실, 기숙사와 같은 시설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제목없음

결과 41 to 60 of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