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324 results

Archival description
이화여대 퐁
Print preview Hierarchy View:

251 results with digital objects Show results with digital objects

1990~2002 (이화 2세기의 출발)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4/0
  • File
  • 1990~2002
  • Part of 이화여대 퐁

정의숙 총장에 이어 취임한 윤후정 총장은 이화의 제2세기를 열었습니다. 윤후정 총장은 통합여성상, 이화의 세계적 명문대학을 이화 21세기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전문화·정보화·세계화·과학화·복지화를 지향지표로 내세웠습니다. 그리하여 사회와 민족 발전에 기여하고 헌신해온 이화는 변혁의 시대에 대응할 '21세기발전계획'을 마련하고 차곡차곡 실현해가면서 세계 제일의 여자대학으로 재도약하고, 인류의 번영과 평화에 이바지하고자 노력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뒤이어 이화의 21세기를 연 장상 총장은 1996년 취임하여 세계 여성 지성공동체의 중심에 서서, 인류공동선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21세기 이화의 새로운 비전으로 선언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이화 교육의 세계화를 목표로 국제경쟁력을 갖춘 우수여성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이화를 세계적인 명문대학으로 도약시키는데 주력하였습니다.

B조

2002~2014 (글로벌 여성교육의 허브)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4/6
  • File
  • 2002~2014
  • Part of 이화여대 퐁

2002년에 취임한 신인령 총장은 이화의 최우선 과제를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이끌어 가고, 통일 시대를 앞당기는 역동적인 여성 지도자 양성에 두었습니다. 취임 초에 학내 민주화와 직무 분담의 원칙을 천명하고 이화의 조직과 운영 체계를 새로운 시대에 맞게 개선해 나갔습니다.
2006년 이화 12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에 취임한 이배용 총장은 21세기 모든 영역에서 이화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는 '이니셔티브 이화(Initiative Ewha)'를 새 비전으로 제시하고, 초일류 명문대학으로의 웅비하기 위한 글로벌 2010프로젝트를 추진하였습니다.
2010년에 취임한 김선욱 총장은 이화가 '글로벌 여성교육의 허브'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이화를 세계적인 연구 중심 대학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글로벌 탑 파이브 사업(Ewha Golbal Top 5 Project)에 착수하는 한편, 제3세계 여성인재 교육프로그램 확대 신설을 통해 나눔과 섬김의 이화정신을 구현하고 여성들의 역량과 글로벌 여성네트워크의 강화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B조

2014~2016 (세계 최고를 향한 혁신 이화)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4/9
  • File
  • 2014~2016
  • Part of 이화여대 퐁

2014년에 취임한 최경희 총장은 '세계 최고를 향한 혁신 이화(Innovation Ewha)'를 비전으로 삼고, 세계 100위권 대학 진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재임기간 중 신산업융합대학 설립 등의 학제 개편, 창업문화거리 ‘이화스타트업52번가’ 오픈,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새 병원 착공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B조

2017~2021 (미래를 개척하는 여성 지성)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7/42
  • File
  • 2017~2021
  • Part of 이화여대 퐁

2017년 이화 역사상 최초로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직선제를 통해 선출된 김혜숙 총장은 ‘미래를 개척하는 여성 지성’의 비전 아래 3E(Empowerment, Engagement, Exploration)의 핵심전략을 수립하고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가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학제간 융복합 공동연구 활성화 지원사업’, ‘미래역량 육성사업’ 등을 통해 융복합 연구환경 조성과 연구역량 강화에 주력했으며, 주요 대학 최초로 정시모집 계열별 통합선발을 실시하고 교수 자율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이화 특유의 도전정신으로 대학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사회 공동체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소통과 신뢰 기반의 공동체 윤리의식을 추구하며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대학의 가치를 실현하였습니다.

B조

2021~현재 (지속가능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혁신 플랫폼)

  • KR EWHA_ARCHI Fond2-2023-04-11/0-B01-2023-04-17/42
  • File
  • 2021-
  • Part of 이화여대 퐁

2021년 취임한 김은미 총장은 ‘지속가능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혁신 플랫폼’이라는 비전 아래 이화의 발전 계획을 담은 <Ewha Vision 2030+>를 추진하며 이화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일환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선도 연구분야와 미래형 도전 연구분야를 육성하여 세계적 수준의 창의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첨단 분야 교육 및 온오프 통합기반 교육혁신을 통해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여성 리더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또한 학생 미래 설계를 위한 맞춤형 지원 시스템 및 취창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공감과 표용에 기반한 이화다움 문화를 확산시키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선도하는 이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B조] 이화여대 역사

  • Fond2-2023-04-11/0
  • Collection
  • 1832-01-01 - 2023-12-31
  • Part of 이화여대 퐁

이화의 역사(1886-2023), 이화의 인물(메리 F. 스크랜튼, 정인보, 박에스더, 김옥길)을 모은 철

B조

[D조] 지구를 지키는 움직임, 플로깅, 줍깅, 쓰담에 대하여

"지구를 지키는 움직임, 플로깅, 줍깅, 쓰담에 대하여"는 플로깅(Plogging)에 대한 컬렉션이다. 2016년 스웨덴에서 시작해 SNS를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된 플로깅이 대한민국에 도달하여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컬렉션은 4개의 시리즈와 9개의 파일, 50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첫 번째 시리즈인 플로깅의 유래와 종류는 플로깅의 유래와 의미, 플로깅의 종류라는 2개의 파일로 구성되며 각 6개와 4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시리즈인 국내 플로깅 사업 현황은 공공 및 지자체 주도, 기업 주도, 민간 주도라는 3개의 파일로 구성되며 각 8개, 8개, 6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시리즈인 국내 플로깅 인식 현황은 플로깅 관련 논문과 플로깅 관련 인식조사 언론보도 내용이라는 2개의 파일로 구성되며 각 3개, 4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마지막 시리즈인 플로깅 관련 논의 사항들은 용어 사용 관련, 결과물 처리 관련이라는 2개의 파일로 구성되며 각 7개, 4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김예은1

"MZ 반응 이렇게 뜨거울 줄은"…비치코밍·플로깅 마케팅이 뜬다 [이미영의 트렌드 톡톡]

2022년 8월 19일 한경라이프 이미영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흐름 속에서 소비 활동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드러내는 데 거리낌이 없는 MZ세대를 겨냥한 친환경 참여형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그 예로 제일기획의 '씨낵 캠페인'과 롯데백화점의 '비치코밍'을 소개하고 있다. 비치코밍은 바다에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의 다른 종류이다.
제일 기획의 씨낵 캠페인은 해안가에 설치한 비치코밍 트럭에서 환경정화 도구를 빌려주고 수거해온 쓰레기를 무게에 따라 바다 관련 스낵으로 교환해주었다. 롯데백화점의 비치코밍은 서피비치를 찾은 사람들이 바닷가 쓰레기 줍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필요한 장비를 대여해주거나 증정했다. 참여자들이 수거한 쓰레기량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받았는데, 포인트로는 현장에 비치된 닥터노아 디얼어스 동구밭 등 친환경 브랜드 제품과 교환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블랙야크는 등산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그린야크 챌린지’ 를 진행했으며 코오롱 스포츠는 서울 도심을 달리며 쓰레기를 줍는 ‘쓰담쓰담 솟솟’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진행한 ‘MZ세대가 바라보는 ESG경영과 기업의 역할’ 설문 결과 응답자의 64.5%가 비싸더라도 ESG 실천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한다. 이에 고려대 이재혁 ESG연구센터장은 “가성비보다 가심비를 따지는 MZ세대가 주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비슷한 품질이라면 ESG를 실천하는지가 구매 기준이 되는 등 자신의 신념에 맞는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MZ세대들은 브랜드 파워 못지않게 친환경적 요소가 소비 결정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미영

가볍게 달리며 쓰레기 줍는 ‘플로깅’을 아시나요?

  • Fond2-[D조]-1-01-유래 및 국내도입002
  • Item
  • 2021.9.10
  • Part of 이화여대 퐁

2012년 9월 10일 백세일보의 배성호 기자가 작성한 기사이다. 2016년 스웨덴에서 시작한 플로깅이 국내에 2018년부터 유입되어 '줍깅'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으며, 2010년 6월 서울 강동지구회는 대한노인회와 자원봉사단체와 함께 플로깅 운동을 진행하고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플로깅이 조깅 외에 산책, 자전거타기, 수영 등 다양한 스포츠와 결합되고 있는 현황도 소개하고 있다. 이 외에 SK이노베이션, KB손해보험에서도 플로깅 캠페인 및 운동을 진행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배성호

Results 21 to 40 of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