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

Identity area

Type of entity

Authorized form of name

신채호

Parallel form(s) of name

Standardized form(s) of name according to other rules

Other form(s) of name

Identifiers for corporate bodies

Description area

Dates of existence

History

1880년 11월 7일 충청남도 대덕군 정생면 익동 도림리(현재 대전시 중구 어남동) 출생.
1897년 성균관(成均館) 입학.
1905년 성균관 박사 수료.
1905년 《황성신문(皇城新聞)》에 논설 기고 시작
1906년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주필로 활약.
1907년 항일결사조직인 신민회(新民會)와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등에 가입·참가하고, 이와 관련해 다수의 글을 발표.
1908년 순한글 《가정잡지》를 편집·발행.
1909년 친일조직인 일진회(一進會) 성토
1910년 4월 중국 칭다오[靑島]로 망명.
1911년-1913년 권업회(勸業會)에서 발행하는 기관지인《권업신문(勸業新聞)》에서 주필로 활동
1914년 남북 만주와 백두산 일대 부여, 고구려, 발해 유적지 등 한국 민족의 고대 활동무대를 답사.
1915년 신한청년회(新韓靑年會) 조직에 참가.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가.
1923년 창조파(創造派)의 주동역할을 하였다.
1925년 무정부주의를 신봉하기 시작.
1927년 신간회(新幹會) 발기인, 무정부주의 동방동맹(東方同盟)에 가입,.
1928년 잡지 《탈환》을 발간. 자금 조달차 타이완으로 가던 중 지룽항[基隆港]에서 체포되어 10년형을 선고받고 뤼순[旅順] 감옥에서 복역
1936년 뤼순 감옥에서 사망.

Places

Legal status

Functions, occupations and activities

Mandates/sources of authority

Internal structures/genealogy

General context

Relationships area

Access points area

Subject access points

Place access points

Occupations

Control area

Authority record identifier

Institution identifier

Rules and/or conventions used

Status

Level of detail

Dates of creation, revision and deletion

Language(s)

Script(s)

Sources

Maintenance notes

  • Clipboard

  • Export

  • EAC

Related subjects

Related p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