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2 results

Authority record (Person, Family, Company)
연극

극단 자유

  • Corporate body
  • 1966-

극단 자유(自由)는 ‘그리스극에서 비롯된 서구연극을 계승, 발전시켜 오늘의 참된 한국현대극을 창조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따라서 이탈리아·프랑스 계통의 희극을 주로 공연하면서 관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을 중요시 하였다. 이에 창립공연은 1966년 6월 국립극장(國立劇場)에서 이탈리아 스칼페타 작·김정옥(金正鈺) 연출「따라지의 향연(饗宴)」을 공연하였고, 12월 호크후트 작·김정옥 연출「신(神)의 대리인(代理人)」, 1969년 마르셀 파뇰(Marcel Paul Pagnol) 작·김정옥 연출「마리우스(Marius)」등의 작품을 공연하였다.
창작극으로는 1967년 오영진(吳泳鎭) 작「해녀 뭍에 오르다」정도였는데, 이후 1970년대에 들어서 최인훈(崔仁勳)·이현화(李鉉和)·김용락(金容洛) 등의 작품을 접하면서부터 간혹 창작극이 무대에 올려졌다.
1969년에는 서울 명동에 살롱극장 카페 떼아뜨르를 마련하고, 1970년대에 들어서는 부조리 작품을 자주 공연하였다.
이 극단의 주요작품으로는 1969년 외젠 이오네스코(Eugene Ionesco )작「대머리 여가수」, 1970년 최인훈(崔仁勳) 작「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1975년 김용락 작「동리자전」, 괴테 작「파우스트」, 이강백(李康白) 작「결혼」, 1977년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 작「승부의 종말」, 1978년 박우춘(朴牛春) 작「무엇이 될고하니」, 1984년 김정옥 작「바람부는 날에는 꽃은 피네」, 1985년 페데리꼬 가르시아 로르카(Federico Garcia Lorca) 작「피의 결혼」, 1993년 셰익스피어 작「햄릿」, 1999년 장 라신느(Jean Racine) 작「페드라(Phaedra)」, 2002년 김정옥 작「꽃, 물, 그리고」, 2003년 콜린히긴스(Colin Higgins) 작「19 그리고 80」 외에 다수의 작품이 있다.
한편, 이 극단은 1966년 제3회 동아연극상에서「따라지의 향연」으로 대상을, 1970년 제7회 동아연극상에서「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로 금상을, 1971년 제8회 백상예술상에서「슬픈 까페의 노래」로 대상과 작품상을, 1972년 제9회 동아연극상에서「세빌리아 이발사」로 대상을, 1978년 제15회 백상예술상에서「무엇이 될고하니」로 대상과 작품상을, 1991년 제28회 동아연극상에서「따라지의 향연」으로 무대미술상, 1993년 제30회 동아연극상에서「햄릿」으로 작품상과 무대미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1999년 이병복 작 옷굿 「살」로 ‘우수공연베스트 5무대’ 예술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 이병복이 대표직에서 물러나면서 극단의 이름을 '창작집단 자유'로 변경하고 김정옥이 대표를 맡았다.

박정자

  • Person
  • 1942-

1961년 이화여대 신문학과에 입학하였고, 대학 3학년 때 DBS 동아방송 공채 1기 성우가 되었다. 1962년 연극 <페드라>로 데뷔한 박정자는 1966년 극단 자유의 창단 구성원으로 본격적인 연극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86년 <위기의 여자>를 공연하면서 극단 산울림과도 깊은 인연을 맺게 된다. 극단 자유와 박정자, 극단 산울림과 박정자는 서로에게 강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이 두 극단과 배우 박정자가 함께 만들어낸 연극은 한국현대연극사에서 중요한 예술적 성과를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