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fichage de 1191 résultats

Notice d'autorité

화수목 나루

  • 작품
  • 2001-03-16~2001-03-25

<줄거리>
제 1장 화수목 나루에 노을이 진다 — 과거의 노래
오랜 대립관계에 있던 두 나라.
전쟁과 평화의 역사가 되풀이되어 오다가 결국 한 나라가 승리하고 한 나라는 패망한다. 그 두 나라는 신라와 백제일수도 있고, 그보다 더 먼 옛날 한반도에 있었던 두 나라일수도 있다. 그만큼 역사적 사실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로이 구성된 우화나 전설 같은 얘기를 배경으로 해서 연극은 진행된다. 망한 나라의 왕은 전사하고 왕비는 자결을 했다. 왕자는 재기의 꿈을 안고 이웃나라, 섬나라로 떠나려한다.
그러나 공주는 나라를 떠나지 않고 싸움에 죽은 부왕과 왕비, 신하들, 백성들, 그리고 패망한 나라를 위해 그 한을 풀어주는 진혼의 굿판을 꾸미려한다. 고국 땅에 남아도 죽음이요, 떠나도 죽음이니 남아서 진혼의 의식을 지키고 고국 땅에 묻히겠다는 것이다. (후략)
<출연진>
박웅, 박정자, 권병길, 안진환, 이상희, 박정욱, 최경희, 황수경, 조덕현, 정구연, 김승덕, 최용재, 김성택, 양용은, 김대령, 구교임(악사-거문고, 키보드), 신현식(악사-아쟁, 타악), 김지민(악사-해금)
<제작진>
이병복(무대미술), 원일(음악), 최형오(조명), 이학순(무대제작), 천경순(무대미술부), 최준명(움직임), 권은아(무대감독), 김대령(조연출), 이희경(그래픽디자인), 정혜영(기획), 오호진(기획), 김수희(기획), [문예회관] 김동수(음향), 김예곤(무대), 이동현(조명오퍼레이터)

노을을 날아가는 새들

  • 1992-10-25 ~ 1992-11-07

<출연진>
김금지, 박웅, 권병길, 안진환, 최희영, 황재연, 조덕현, 황수경, 정구연, 박민희, 이소향, 최용재
<제작진>
김정옥(작, 연출), 이병복(무대미술)

이영미

  • Personne
  • 1961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1920년대 대중화논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 극단 연우무대, 최초의 노래운동 단체인 ‘새벽’ 회원과 부정기간행물 《노래》의 동인, 민족극연구회 대표로 활동하는 등, 진보적 예술문화운동에서 이론과 비평활동을 하면서,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 초반까지의 전국의 마당극과 민중가요를 발로 찾아다니며 폭넓게 접했고, 1990년대부터는 대학로에서 살다시피 하면서 연극평론을 썼다. 1990년대 중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한 12년 동안, 연극과 마당극, 대중가요, 북한 공연예술 등 그간의 관심 대상들을 책으로 정리했다. 언어를 매개로 하는 예술 중, 문학연구의 중심영역에서 소외되어 있으나 일반대중들과 친근한 서민적 예술들과 그 대중성의 실체와 시대별 흐름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방송극을 새로운 연구대상으로 삼아 천착하고 있다. 저서로 『민족예술운동의 역사와 이론』 『노래 이야기주머니』 『재미있는 연극 길라잡이』 『서태지와 꽃다지』 『이강백 희곡의 세계』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마당극 리얼리즘 민족극』 『한국대중가요사』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광화문 연가』 등이 있다. 대중 예술 연구자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로 있다.

백마강에 노을이 진다

  • 작품
  • 2000

김정옥 작, 김승미 연출. 2000년 전통연희 개발작품 선정작.

발레

Résultats 1181 à 1191 sur 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