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8 results

Authority record (Person, Family, Company)
인물

Franco Mancuso

  • 인물
  • 1937 ~

프랑코 만쿠조는 베니스 출생으로, 그곳에서 거주하며 일하며 살고 있는 건축가 겸 대학교수이다. 베니스 IUAV 건축대의 도시건축설계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또한 EPAU(알제리), 간세이 가쿠인대(일본) 및 CUJAE(쿠바)에서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우르비노, 시에나, 베니스의 ILAUD(국제 건축 및 도시 디자인 연구소)와 이탈리아 및 해외의 많은 대학 및 기관에서 강의와 세미나를 진행해왔다. 또한 ‘Mancuso e Serena‘ 도시건축설계사무소를 운영하며, 베니스를 포함한 역사적인 도시의 건축 유산 가치화 주제에 관한 국내 및 국제 회의를 통해 활동 중이다. 베니스 IUAV에 한국연구원과 교수들이 참석하는 기회들을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가졌고, 명지대학교(CAMU)와 공동으로 주최한 수많은 회의, 세미나 및 토론에 참여하며, 서울에서 이탈리아 및 유럽과 관련된 전시회와 기고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어 건축가 김석철과 협력하여 1995년 개관한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을 공동 설계하였다.

김석철

  • 인물
  • 1943-2016

김석철은 경기고와 서울대 건축과를 졸업하고, 김중업·김수근 선생을 사사했다. 1970년 김희춘·조창걸 선생과 함께 서울대 응용과학연구소를 창설했으며, 같은 해 월간 『현대건축』을 창간해 주간을 지냈고 1972년 아키반건축도시연구원을 설립했다. 베니스 건축도시대, 뉴욕 컬럼비아 건축대학원, 베이징 칭화대, 충칭대 등의 초빙교수, 객좌교수를 역임했고, 명지대에서 석좌교수이자 명예 건축대학장을 역임했다.
주요 건축 작품으로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국가문화훈장을 받은 예술의전당, 아시아 건축상 금상을 수상한 제주 영화박물관, 제1회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에 선정된 한샘 시화공장, 제1회 올해의 건축인상 대상을 받은 씨네 시티와 비원연구소, 프랑코 만쿠조 교수와 공동 설계한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이 있다. 주요 도시 설계 작품으로 최초의 서울 개혁인 한강 마스터플랜과 여의도 개발 계획, 쿠웨이트 자하라 신도시, 베이징 대학 도시 구역의 창조적 도시 중심인 iCBD, 충칭 특별시의 최종 심의를 통과한 난후 문화관광 도시, 한국과 아제르바이잔 양국 대통령이 함께 추진한 바쿠 신도시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김석철의 세계건축기행』(창비, 2000), 『20세기 건축산책』(생각의나무, 2002), 『URBAN DREAMS』(건축세계사, 2007), 『공간의 상형문자』(생각의나무, 2009) 등이 있다.

노무현

  • 인물
  • 1946.09.01-2009.05.23

노무현은 1946년 9월 1일 경상남도 김해에서 출생하였다. 1966년 부산상고를 졸업한 뒤 1968년부터 71년까지 육군에 복무하였다.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77년 판사로 임용되었으나 이듬해 5월 사직하고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1981년 부림사건(釜林事件) 변론을 계기로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85년부터 부산을 기반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다. 1988년 부산 동구에서 제13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제5공화국 비리조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하여 민주당 창당에 동참하였다. 1998년 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선, 2000년 부산 북·강서을 지역구 국회의원 낙선 등 정치적 부침을 겪었다. 2000년 8월이후 김대중정부에서 해양수산부장관,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과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2002년 초 국민경선제를 통하여 새천년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고, 그해 12월 제16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었다. 2004년 초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에 제출되면서 그 권한을 정지당하였으나 같은 해 5월 14일 헌법재판소가 탄핵소추안을 기각하여 대통령직에 복귀하였다. 2007년 10월 평양을 방문,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남북관계 발전 및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4선언)'을 발표하였다. 퇴임후 '국가기록물 무단유출'에 대한 수사를 시작으로 검찰에 의하여 측근과 친형, 부인·아들·딸 등이 비리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으로, 2009년 4월 30일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23일 사저 뒷산의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하여 사망하였다.

대전지방법원판사및변호사, 1977????~1978????
제13대 국회의원, 1988530~19920529
민주당최고위원, 1993????~미상
제15대 국회의원, 19960530~20000529
해양수산부장관, 20000807~20010325
제16대 대한민국대통령, 20030225~20080225

이명박

  • 인물
  • 1941.12.19-

\이명박은 1941년 12월 19일 일본 오사카에서 출생하였다. 1965년 고려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한국체육대학교에서 명예 이학박사, 서강대학교에서 명예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6·3사태'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고 6개월 동안 복역하였다. 1965년 현대건설(주)에 입사해1977년 최고경영자가 되었고, 1992년까지 현대건설·인천제철(주) 등 현대그룹의 8개 계열사 대표이사·회장을 지냈다. 1992년부터 제14·15대 국회의원을 거쳐, 2002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당선되어 7월 1일 취임하였다. 그밖에 해외건설협회 업계 대표회장,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대한수영연맹 회장, 6·3동지회 회장,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운영이사회장 겸 부회장, 한국청년실업인협회 회장, (재)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제15대 대통령선거 신한국당 서울시 선거대책본부장, 한나라당 혁신위원회 미래경쟁력 분과위원장 등을 지냈다. 2007년 12월 19일 치러진 선거에서 제1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현대그룹10개사대표이사및사장및회장(겸임), 1977????~1992????
제14대 국회의원, 19920530~19960529
제15대 국회의원, 19960530~20000529
제32대 서울특별시시장, 20020701~20060630
제17대 대한민국대통령, 20080225~201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