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79 results

Authority record (Person, Family, Company)
Person

B조

  • Person
  • 2023

2023학년도 1학기 정책과학대학원 기록정보관리론 수업 B조 (강혜원, 최한별, 김민애, 권혜송)

Nelia Sancho

  • PEO0238
  • Person
  • ~ 2022.09.02.

Philippine women's movement activist and co - founder of the "Gabriella women's society".

Stephen Ellis

  • Person

Ralph C. Ellis, father of Stephen, was born July 11, 1924, in Milton, Nova Scotia. After serving in the Royal Canadian Air Forc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e began his career at the National Film Board as a field representative working out of the Halifax, Ottawa, and New York offices. In 1956, he formed Fremantle of Canada with Paul Talbot and Saul Turell, distributing television programs for Freemantle International. In 1963, in partnership with filmmakers Gerry S. Kedey and Dan Gibson, Ellis established KEG Productions, a production company specializing in wildlife and environmental documentaries (including the series Audubon Wildlife Theatre, 1968-1974, for the CBC). The company became the largest producer of wildlife programming in Canada. In 1964, he founded Ellis Enterprises, which went on to become the most prominent distributor of British programs in Canada (including the series Coronation Street, Upstairs Downstairs, The Two Ronnies, Doctor in the House, The Jewel in the Crown, and Sherlock Holmes). In 1969, Ellis established Manitou Productions, with William Davidson, to produce dramas, resulting in children’s programs such as the Adventures in Rainbow Country (1970-71) for the CBC and Matt and Jenny (1979-1980) for Global Television. Ellis helped to organize the Canadian Television Program Distributors Association, served on the Children’s Broadcast Institute Board, and was a member of the Broadcast Executives Society. He was appointed to the Order of Canada and the Order of Ontario in 1997 and retired in 2002. Ellis died in 2016.

In 1973, Maclean-Hunter acquired a 50% stake in KEG Productions. By the 1990s, Ellis Entertainment Corporation had re-acquired 100% of the production group, re-branding its productions and distribution arms as Ellis Vision Inc. and Ellis Releasing. Ellis Enterprises had an early deal with Discovery Channel in 1986 and was a co-founder of the Outdoor Life Network in Canada in 1996. In 2009, Ellis Entertainment merged with Knightscove Media Corp., creating the Knightscove-Ellis International television division. In 2015, the 600-title library of material produced by Ralph and Stephen Ellis was acquired by Stellis Media Inc.

Stephen Ellis, Ralph’s son, began working for Ellis Enterprises as a shipping clerk in 1973 while he was in university. In 1983, Stephen became Managing Director of KEG after Ralph bought out the original partners. In 1986, Stephen became president of Ellis Enterprises. Stephen joined the CFTA board in 1980 (serving as president in 1984), was secretary-treasurer for the Canadian Film and Television Production Association, and in 1989 was founding president of the Canadian Retransmission Collective (CRC). In 2002, Stephen took over Ellis Entertainment upon his father’s retirement, and continued producing until 2011. In 2015, Stephen founded Stellis Media, naming his father chairman emeritus. As of 2020, Stephen Ellis is president of RocketFuel Media Inc. (launched in 2012 with Gina Lijoi), a principal with the consultancy Media Cattellist Solutions, chair of the CRC, and chair of ISAN Canada.

Wood, Barb

  • Person

Barb Wood was born in Halifax in 1953. She studied architecture and fine arts at the University of Waterloo from 1972 to 1976, graduating with an honours Bachelor of Fine Arts degree. After graduation she moved to Vancouver with her husband: the architect Don Hazelden.

In 1980, she set up Barb Wood Graphics Ltd. Corporate clients included the Bank of Nova Scotia, BMO, RBC, BC Sugar, Dairyland, Neptune Terminals, BC Ferries, and several municipalities including the City of Coquitlam. She also became a partner in the successful printmaking co-op and gallery Six of One on Granville Island.

강신표

  • Person
  • 1936-2021

고은

  • Person

전라북도 옥구군 출생이다. 군산고등보통학교를 4학년 시절에 중퇴하였다. 한국 전쟁으로 인한 전란 시기였던 1952년 일본 조동종의 군산 동국사에 출가하여 중관학 권위자인 중장혜초로부터 일초(一超)라는 법명을 받고 불교 승려가 되었다. 이후 10년간 경기도 강화 전등사 등의 사찰에서 참선과 방랑을 거듭하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58년 조지훈과 장만영과 서정주의 공동 추천으로 인하여 《현대문학》에 〈폐결핵〉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60년대 초에 본산 주지, 불교신문사 주필 등을 지냈고, 1960년 첫 시집 《피안감성》을 내고 1962년 환속하여 본격적인 시작활동에 몰두하게 되었다.

고은의 문학적 성향은 〈문의 마을에 가서〉를 낸 1974년을 기준으로 크게 둘로 나뉘는데, 그의 전기 시들은 허무의 정서, 생에 대한 절망, 죽음에 대한 심미적인 탐닉이 주를 이루는 반면 후기 시들은 시대상황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투쟁의지를 담고 있다. 그 뒤 '자유실천 문인협의회' 대표로 행동주의 관련 체제 면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1983년에, 14년 연하녀 이상화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와 결혼한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도 자주 거론되고 있는데, 세계 각국에서 그가 잘 알려진 것은 노벨문학상 후보라는 것 이전에 그의 시가 20여개국에 번역되어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로 2005년 이후 여러번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 되기도 하였다.[1][2] 노르웨이에서는 자국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을 기린 비에른손 훈장을 받았고, 스웨덴에서도 자국 노벨 문학상 수상자 하뤼 마르틴손을 기리는 상인 동시에 동아시아권 문학에 주는 상인 시카다상을 수여하였다.

고은빛

  • AR-038-geb
  • Person
  • 1997

문헌정보학과 학사 졸업 후 기록관리전공 석사 졸업

김동길 (교수)

  • Person
  • 1928 ~ 2022

1954~1991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1980 연세대학교 부총장
1992 제14대 국회의원
1994 신민당 공동대표
2005 제5회 연문인상
2013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한민족원로회 공동의장, 태평양시대위원회 이사장

김석철

  • Person

[예술감독]
이일 강석원 오광수 송미숙 김석철 박경미 김종성 김홍희 정기용 김선정 조성룡 안소연 승효상 주은지 권문성 윤재갑 김병윤 김승덕 조민석 이숙경
[커미셔너]
김성홍 이대형 박성태 김현진 신혜원 이영철 박경 ; 정소익 야콥 파브리시우스, 이설희

김수영

  • Person
  • 1921-1968

1921년 11월 27일, 서울 종로구 관철동에서 아버지 김태욱과 어머니 안형순 사이의 8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어린 시절 병약했으며, 선린고등상업학교 시절에는 오스카 와일드의 원문 시작품들을 외워 읽을 만큼 영어 성적이 우수했다.

이후 일본의 도쿄 상과대학교에 입학하였다. 일제강점기 말에 학병 징집을 피해 대학교 중퇴 후 만주의 길림성으로 이주했다가 광복과 함께 귀국하여 시 창작을 시작하였다. 또 연희전문학교에서 잠시 수학했으나, 졸업하지 못한 채 중퇴했으며, 1947년 예술부락에 〈묘정(廟庭)의 노래〉를 발표하면서 등단한 후 김경린, 박인환과 함께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발표하여 주목을 끌었다.

한국 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조선인민군에 징집되어 참전했다가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반공포로라고 함)

김수영 시인은 일본어와 영어에 능통하였기 때문에, 통역 일과 잡지사, 신문사를 전전하며 시작과 번역에 전념하였다.

1957년 제1회 시인협회상을 받았다. 1959년 첫 단독 시집 《달나라의 장난》을 춘조사에서 출간하였다. 이 시기의 시들은 바로 살고자하는 의지와 그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현실사이의 갈등과 슬픔의 극복이 중심적인 내용을 이루고 있다.[4] 이후 번역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1968년 6월 15일 밤 술자리가 끝나고 귀가하던 길에 서울 마포구 구수동에서 인도로 뛰어든 좌석버스에 치여 병원으로 옮겨진 뒤 다음날 새벽에 4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2013년 그가 생전에 거주했던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김수영 시인을 기리고 그의 시문 및 시학의 업적을 기리는 김수영문학관을 설립하였다. 쌍문역에서 내려 마을버스 06번을 타면 김수영 문학관 정류장에서 내릴 수 있다. 김수영 시인의 대표시인 풀을 쓴 벽, 김수영 시인이 읽은 잡지인 파르티잔(아시아문화재단에서 펴낸 좌파 잡지.), 파르티잔 잡지를 담았던 봉투와 쪽지에 쓴 글, 시를 쓸 때에 쓴 책상과 의자, 관련논문을 모은 책장, 김수영 시인의 삶을 적은 전시물 등 김수영 시인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받는 곳이다.

김순덕

  • PEO0034
  • Person
  • 2004.06.30. 사망

1937년 강제동원되어 1940년 일본장교의 도움으로 귀국했다. 1992년 커밍아웃한 뒤 수요시위 참여, 일본 순회집회,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등지에서 활동했다.

김승은

  • Person
  • 1992년~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과 국악전공 박사과정 1학기차

Results 1 to 20 of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