検索結果:79件

典拠レコード
個人

위희연1

  • 個人
  • 2023

기록정보관리론 2023-1학기 D조 구성원이다.

최기풍

  • 個人
  • 출생: 1949. 12. 25.
  • 나이: 75세(만73세)
  • 영화감독, 영화제작자

김옥길 (제8대 이화여대 총장)

  • 個人
  • 1921-03-10 ~ 1990-08-25

1943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 졸업
1952 미국 웨슬리언대학교 학사
1952 ~ 1979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1957 ~ 1968 미국 템플대학교 대학원 수학
1961 이화여자대학교 명예문학박사
1961 ~ 1979 제8대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1970 ~ 1980 다락방전도협회 회장
1975 ~ 1979 대한여학사협회 회장
1979 ~ 1980 제24대 문교부 장관
1979 ~ 1990 이화여자대학교 명예총장
1986 ~ 1990 학교법인 이화학당 이사장
1990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박은식

  • 個人
  • 1859.9.30 ~ 1925.11.1

1859년 9월 30일 황해도 황주(黃州) 출생.
1869년 한학과 실학사상 체득.
1879년 주자학 본격적으로 사사.
1885년 향시 합격.
1890년대 서울에 거주하게 되면서 적극적으로 사회활동 시작 그의 사상도 종래의 정주학(程朱學) 중심에서 지행합일(知行合一)을 강조하는 양명학(陽明學)으로 변함.
1898년 9월 장지연이 창간한 《황성신문》의 주필로 민중계몽에 나섰고, 만민공동회와 더불어 반봉건·반침략 투쟁을 벌이던 독립협회에도 가입.
1904년 《학규신론(學規新論)》을 간행, 서우학회(西友學會) 발기.
1908년 서북학회의 회장직 역임. 기관지 《서우》 《서북학회월보》의 주필로 활동.
1909년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 발표.
1911년 가을 만주 위안런현[桓仁縣]으로 망명. 나라 밖에서 구국독립운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
1912년 동제사(同濟社)를 조직, 상하이에 박달(博達)학원을 세워 교포자제를 교육.
1914년 《국시일보(國是日報)》의 주간 임명. 《안중근전》과 《한국통사(韓國痛史)》 저술.
1915년 신한혁명당을 조직
1918년 《한족공보(韓族公報)》 발행에 관여.
1920년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저술.
1924년 임정 국무총리 겸 대통령 대리.
1924년 3월 이승만의 대통령 면직으로 제2대 대통령 임명.
1924년 대통령직 사임.
1925년 사망 임정의 국장으로 상하이 정안길로(靜安吉路) 공동묘지에 안장.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1994년 정부에 의해 국립묘지로 이장.

백은선

  • 個人
  • 1995

전라북도 부안 출생,

홍선옥

  • PEO0524
  • 個人
  • 1950.3.28. 평북 신의주 출생

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자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정진성

  • PEO0036
  • 個人
  • 1953. 출생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이자 '한국정신대연구소' 연구원.

지은희

  • PEO0050
  • 個人
  • 1947.06.26. ~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및 제2대 여성부장관, 정의기억재단 이사장.

이현진

  • RM01-LEE
  • 個人
  • 1996-

1996년 12월 02일 마산 출생
2001년 대구로 거주지 이동
2022년 01월 RMsoft 입사

문수영

  • AR0001-MSY
  • 個人
  • 1993~

기록 및 아카이브에 관심 있는 사람

전누리

  • AR001-jnr
  • 個人
  • 1989-

알엠소프트에서 재직 중

고은빛

  • AR-038-geb
  • 個人
  • 1997

문헌정보학과 학사 졸업 후 기록관리전공 석사 졸업

김장발

  • EX-1 (ISAAR 5.4.1)
  • 個人
  • 1970 - 2020

Example History (ISAAR 5.2.2). When linked to a description, the history will display in the description view page on the level where it is linked.

프랑코 만쿠조

  • 個人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소속부서

박인배

  • 個人

1972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하고 진보적인 연극 활동에 참여하면서 대학 시절에 학생회 간부로 민주화운동을 시작하였다. 1975년 긴급조치 위반 등으로 세 차례 감옥생활을 겪었으며, 구로공단 등 노동 현장에서 노동자들과 연극을 하며 민중문화운동을 펼쳤다. 1984년 민중문화운동협의회를 조직하였고 본격적으로 노동자 대상의 문예 활동을 벌이면서 87년 말에는 극단 현장을 창단했다. 이후 1989년에는 서울노동자문화운동협의회를 창립해 현장 친화적이고 노동자들에게 어필하는 작품을 내놓았다. 1990년대 말부터는 서울 단오축제, 2000년대에는 과천마당극제 예술감독, 안성 바우덕이 풍물패와 바우덕이 축제 예술감독 등으로 판을 넓히며 축제 연출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기도 했다.

<주요작품>
연출<노동의 새벽>(1988, 1994), <횃불>(1989), <노래판굿 꽃다지>(1992, 1999), ,<못 다한 사랑>(1991, 1999, 2001) <자, 우리 손을 잡자>(1992, 2002) 등 예술감독<서울단오축제>(1997~1999), <과천마당극축제>(1997~2010), <안성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2002~2012) 등

고은

  • 個人

전라북도 옥구군 출생이다. 군산고등보통학교를 4학년 시절에 중퇴하였다. 한국 전쟁으로 인한 전란 시기였던 1952년 일본 조동종의 군산 동국사에 출가하여 중관학 권위자인 중장혜초로부터 일초(一超)라는 법명을 받고 불교 승려가 되었다. 이후 10년간 경기도 강화 전등사 등의 사찰에서 참선과 방랑을 거듭하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58년 조지훈과 장만영과 서정주의 공동 추천으로 인하여 《현대문학》에 〈폐결핵〉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60년대 초에 본산 주지, 불교신문사 주필 등을 지냈고, 1960년 첫 시집 《피안감성》을 내고 1962년 환속하여 본격적인 시작활동에 몰두하게 되었다.

고은의 문학적 성향은 〈문의 마을에 가서〉를 낸 1974년을 기준으로 크게 둘로 나뉘는데, 그의 전기 시들은 허무의 정서, 생에 대한 절망, 죽음에 대한 심미적인 탐닉이 주를 이루는 반면 후기 시들은 시대상황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투쟁의지를 담고 있다. 그 뒤 '자유실천 문인협의회' 대표로 행동주의 관련 체제 면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1983년에, 14년 연하녀 이상화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와 결혼한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도 자주 거론되고 있는데, 세계 각국에서 그가 잘 알려진 것은 노벨문학상 후보라는 것 이전에 그의 시가 20여개국에 번역되어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로 2005년 이후 여러번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 되기도 하였다.[1][2] 노르웨이에서는 자국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을 기린 비에른손 훈장을 받았고, 스웨덴에서도 자국 노벨 문학상 수상자 하뤼 마르틴손을 기리는 상인 동시에 동아시아권 문학에 주는 상인 시카다상을 수여하였다.

이영미

  • 個人
  • 1961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1920년대 대중화논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 극단 연우무대, 최초의 노래운동 단체인 ‘새벽’ 회원과 부정기간행물 《노래》의 동인, 민족극연구회 대표로 활동하는 등, 진보적 예술문화운동에서 이론과 비평활동을 하면서,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 초반까지의 전국의 마당극과 민중가요를 발로 찾아다니며 폭넓게 접했고, 1990년대부터는 대학로에서 살다시피 하면서 연극평론을 썼다. 1990년대 중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한 12년 동안, 연극과 마당극, 대중가요, 북한 공연예술 등 그간의 관심 대상들을 책으로 정리했다. 언어를 매개로 하는 예술 중, 문학연구의 중심영역에서 소외되어 있으나 일반대중들과 친근한 서민적 예술들과 그 대중성의 실체와 시대별 흐름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방송극을 새로운 연구대상으로 삼아 천착하고 있다. 저서로 『민족예술운동의 역사와 이론』 『노래 이야기주머니』 『재미있는 연극 길라잡이』 『서태지와 꽃다지』 『이강백 희곡의 세계』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마당극 리얼리즘 민족극』 『한국대중가요사』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광화문 연가』 등이 있다. 대중 예술 연구자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로 있다.

to3%の 79への%1結果